메뉴 건너뛰기

close

지식산업은 21세기의 화두다. 그 지식산업 한가운데 문화콘텐츠가 자리한다. 문화콘텐츠는 우리 문화원형(역사, 설화, 민담, 문헌자료 등)을 바탕으로 개발한 것으로 영화, 게임, 애니메이션, 캐릭터, 음반, 디자인, 디지털소스 등 광범위하게 적용된다. <문화콘텐츠를 찾아서>라는 연재기획기사를 통해 문화콘텐츠의 산업적 의미와 전망을 찾아보고자 한다...기자 주

<월인석보(月印釋譜)>에 담겨 있던 조선시대 서체가 '월인석보체'로 새롭게 탄생했다. <간이벽온방(簡易벽瘟方)>에 담겨 있던 서체와 우리 전통 속에 면면이 이어져 오던 기하학적 문양과 신앙을 상징하는 문양 등도 디지털폰트로 개발됐다.

'윤디자인연구소'가 디지털폰트 개발 소재로 삼은 문화원형은 <월인석보>와 <간이벽온방>에 나타난 서체와 인물, 불교, 귀문, 동물, 식물, 길상문, 기하문, 구름문, 건축 등 여러 자료에 드러난 전통문양이다.

▲ <간이벽온방>에서 디지털폰트 작업을 위해 필요한 글자를 추출한다.
ⓒ 윤디자인연구소

▲ <간이벽온방>에서 추출한 글자의 형태를 보정해 디지털폰트로 개발한다.
ⓒ 윤디자인연구소

"문화원형을 소재로 개발한 디지털폰트는 세계화를 위한 문화콘텐츠"

윤디자인연구소 강진희 과장은 "고문서는 문화적 가치가 있음에도 보관 과정에서 훼손되거나 소실되는 경우가 많은데 고문서의 글꼴들을 디지털폰트로 개발하면 그 가치를 영구히 보존할 수 있다"고 디지털폰트 개발 의미를 설명했다.

강 과장은 전통문양 개발과 관련해 "사람들은 우리 것이 소중하다면서도 외국인들이나 관심을 갖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며 "젊은 세대가 이모티콘 등으로 친숙하게 사용한다면 우리 것이 세계적인 것이라는 자부심을 가질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강 과장은 "고문서의 아름다운 글씨체와 전통문양을 디지털로 개발한 폰트는 그래픽디자인 소스를 비롯해 모바일, PDA, e-Book, 방송, DMB 등의 폰트와 메신저, 블로그, 웹사이트 등의 이모티콘과 퍼스나콘(블로그 아이콘)으로 활용할 수 있다"며 "우리 문화원형을 소재로 개발한 폰트는 디지털시대에 우리 것의 세계화를 위한 문화콘텐츠로써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윤디자인연구소 분석에 따르면 <월인석보>에 나타나는 서체는 고딕체와 명조체의 중간쯤에 해당한다. 훈민정음 창제 직후의 한글 서체로서, 가장 안정되고 꾸밈이 소박해 당시 특징을 가장 잘 나타내는 아름다운 서체라고 한다. 디지털폰트 개발 소재로 <월인석보>를 선택한 이유다.

▲ ‘월인석보체’는 전통이 살아 숨쉬며 높은 가독성과 안정적인 조형미를 갖추고 있어 도로표지판에 적합한 글씨체라고 한다.
ⓒ 윤디자인연구소
윤디자인연구소는 <월인석보>에서 추출해 개발한 '월인석보체'가, 단순 변별력을 위해 도시의 미적 감각을 떨어뜨리고 있는 도로표지판의 고딕체를 대체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월인석보체'는 우리의 전통이 살아 숨쉬며 높은 가독성과 안정적인 조형미를 갖추고 있어 도로표지판에 가장 적합한 글씨체라는 것이다.

한편 <간이벽온방> 언해본은 15, 16세기 한글을 대표하는 서체로 그 개발가치가 높다고 한다. 이는 문광부의 21세기세종계획연구사업의 한 분야로, 글꼴개발센터가 2001년에 연구한 '옛 문헌 한글글꼴 발굴·복원연구(연구책임자 박병천 교수)'에 의하여 이미 가치가 증명된 서체라는 것이다.

<간이벽온방>의 한글문자는 자모음의 종류가 다양하고 합자의 종류도 423자로 한글글꼴을 개발하는데 충분한 자료가 있는 것으로 파악돼 활용가치가 높다. 또한 문서에 보이는 문자들은 조형성 분석을 통하여 검증됐듯이 고문자용과 현대문자용 폰트 개발에 아주 적합해 디지털폰트로써 가치가 있다.

문양은 집단적인 가치 감정의 상징물, 이모티콘 등 활용도 높아

문양에는 다양한 조형미술의 원리가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주제의 성격이나 표현내용으로 볼 때, 문양은 순수 감상용 미술과는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다. 문양은 집단적인 가치 감정의 상징물로 일반화되어 있으며, 예술적인 욕심 없이 소박한 생활 욕구에 따라 전해 내려오는 틀을 존중하면서 그려진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 동안에 쓰여져 온 문양의 종류와 유형을 크게 구분하여 보면 기하학적 문양, 종교 및 신앙을 상징한 문양, 동·식물문양, 자연 문양, 길상문양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윤디자인연구소는 이것을 9가지 항목으로 세분화해 개발했다. 전통문양의 디지털폰트는 이모티콘이나 퍼스나콘 등으로 활용도가 높다.

전통문양은 디자이너들의 불필요한 작업 시간을 줄여주고, 다양한 소재들을 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일반 문양은 물론, 작품 속에서의 모습들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전통문양은 익숙한 이미지임에도 상대적으로 뜻과 의미를 모르고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윤디자인연구소는 폰트처럼 자판구조로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뷰어(Viewer)를 개발해 문양에 대한 설명과 함께 출처를 제공하고 있다.

▲ 전통문양에서 추출한 인물, 불교, 귀문, 동물, 식물, 길상문, 기하문, 구름문, 건축 등을 디지털문양폰트로 분류했다.
ⓒ 윤디자인연구소
강 과장은 "직접 사진촬영을 하거나 박물관측과 협의를 통해 확보한 전통문양 자료들은 일러스트 작업으로 윈도를 추출해 문양폰트로 개발했다"며 "분류과정과 각각의 자료에 대한 설명을 위해 한국고미술협회 시각환경조형연구소 임영주 학예연구실장이 고문으로 참여했다"고 전했다.

강 과장은 이어 "<간이벽온방>은 가천박물관의 협조를 통해 고해상 촬영으로 자료를 구했고, <월인석보>는 연세대 국문과 홍윤표 교수님이 보유하고 계신 판본을 바탕으로 개발했다"며 "홍윤표 교수님과 세종대왕기념사업회 박병천 경인대 교수님께서 서체에 대한 고증과 검수를 통해 자료의 신뢰성을 높였다"고 덧붙였다.

강 과장은 "전통문양 확보를 위해 박물관 등과 협조를 구하는 것과 문양에 대한 자료를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정리하는 것이 어려웠다"고 전하며 "전통문양은 연구소가 운영하는 컨텐츠종합쇼핑몰을 통해 온라인으로 판매하고 있으며, 고문서 디지털폰트도 판매 준비 중"이라며 콘텐츠 수익의 다양화를 꾀하고 있다고 말했다.

폰트는 네티즌, 모티즌, 기업 등의 커뮤니케이션 수단

<간이벽온방>과 <월인석보>
우리 고문서에서 찾은 디지털폰트

<간이벽온방(簡易벽瘟方)>은 보물 제1249호로 조선 중종 때 의관 박순몽, 박세거 등이 임금의 명에 의해 온역(溫疫:전염병) 치료에 대한 약방문을 모아 엮은 의학서적이다. 문장에 나타나는 16세기 한문은 한문학계, 언문은 국어학계에서 연구할 가치가 있는 내용들이므로 이 분야의 전문가들에게 특히 필요한 연구 및 교육용 문헌으로 가치가 크다.

<월인석보(月印釋譜)>는 보물 제745호로 세조가 <월인천강지곡>과 <석보상절>을 합해서 1459년 편찬한 불교대장경이다. 조선 전기 2대에 걸쳐 편찬, 간행한 것으로 우리나라 최초로 불교서적을 한글로 번역한 책이다. 조선 전기 훈민정음 연구와 불교학, 문헌학 연구에 귀중한 자료다.
/ 최육상
현재 <간이벽온방> <월인석보>에서 추출한 디지털폰트는 한글 국가표준인 KSC5601 code 기준으로 한글 2350자, 영문 94자, 약물(기호와 특수문자) 986자 등이다. 전통문양은 인물, 불교, 귀문, 동물, 식물, 길상문, 기하문, 구름문, 건축 등 9개 항목으로 분류하여 각각 A~Z까지의 영역에 문양을 지정해 해당 알파벳을 눌러 사용할 수 있는 뷰어(Viewer)도 개발했다.

강 과장은 끝으로 "연구소에서 10여년간 디지털폰트를 개발해온 전문 인력과 5년 이상의 그래픽 경력이 있는 디자이너들이 팀장을 맡아 중급 이상의 디자이너들과 함께 작업했다"며 "고문서를 바탕으로 디지털폰트를 개발하는 건 쉽지 않았지만 우리 것을 지킨다는 자부심을 갖고 작업에 임했다"고 밝혔다.

예전에 폰트는 디자이너의 전유물이었다. 하지만 지금은 디자이너뿐만 아니라 네티즌, 모티즌, 기업 가릴 것 없이 폰트를 활용하는 추세다. 게시판과 블로그에 글을 쓸 때나 문자메시지를 보낼 때도 자신만의 폰트를 사용해 튀어 보이려 한다.

폰트는 인쇄출판 시장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고, 디자인경영을 부르짖는 기업들은 기업이미지 통합을 위한 전용서체 등을 지속적으로 개발하는 등 폰트 시장은 점차 커지고 있다.

웹과 모바일, 디자인경영이 일상생활이 된 지금 고유한 폰트는 단순한 표현 수단을 넘어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자리잡고 있다. 여기에 우리 문화원형을 소재로 개발한 디지털폰트의 의미가 있다. 고문서와 전통문양에서 힘들게 찾아 낸 디지털폰트가 고유의 문화콘텐츠로서 얼마만큼 활용되느냐는 결국 우리의 관심과 애정에 달려 있다.

덧붙이는 글 | '윤디자인연구소'의 고문서 및 전통문양의 디지털폰트 콘텐츠 자료 열람
http://www.culturecontent.com -> 문화원형관 -> 디지털폰트


태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전북 순창군 사람들이 복작복작 살아가는 이야기를 들려드립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